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알제리] 주간 경제동향 ('25.10.12.-18.)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10-28
조회수
159

(정보제공 : 주알제리대사관)



알제리 주간 경제 동향 ('25.10.12.-18.)




가. 세계 경제 전망 IMF 보고서 관련


  ㅇ 알제리 국영 뉴스통신사 APS는 10.14(화) IMF·세계은행 연차총회 계기 발간된 2025년 세계 경제 전망 IMF 보고서를 아래와 같이 요약하여 보도함.


     -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 3.2%, 2026년 성장률 전망: 3.1%


     - 2025년 상반기 글로벌 교역 증가 및 무역 정책 변경 전 수요 증가 등 일시적 요인 영향으로 성장률이 상향 조정되었으며 국가별 차이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전 세계 인플레이션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


     - △보호무역주의 확대, △재정 취약성, △부채 상환 부담 증가, △국채시장 불안, △ 비은행 금융기관의 영향력 확대 등 금융 시장 리스크 경고


     - 이에 IMF는 △재정 건전성 확보, △중앙은행의 독립성 유지, △구조 개혁 지속, △부채 관리 강화 등을 권고


나. 2026년 알제리 재정법안(PLF 2026) 및 2026-2028 경제 전망 관련


  ㅇ 알제리 국영 통신사 APS는 10.14(화) 2026년 알제리 재정법안(PLF 2026) 및 향후 3개년(2026-2028) 경제 전망 주요 내용을 아래와 같이 보도함.

     (2025.10.17. 환율 기준: 1달러=129.78디나르)


     - 2026년 국가 예산 지출: 17조 6,370억 디나르(약 1,358억 달러) (GDP의 42% 규모), 2027: 17조 8,160억 디나르(약 1,373억 달러), 2028: 18조 5,000억 디나르(약 1,425억 달러)


     - 주요 지출 항목: 2026년 공무원 급여 총액: 5조 9,260억 디나르(약 456억 달러) (국가예산의 33.6%)


     - 재정 기준 유가(배럴당): 60달러, 시장 예상 유가(배럴당): 70달러


     - 2026년 재정 수입 전망: 2026년 예산 수입 총액: 8조 9억 디나르(약 616억 달러), 2027: 8조 1,872억 디나르(약 631억 달러), 2028: 8조 4,127억 디나르(약 649억 달러)


     - 2026년 석유 관련 세수 전망: 2조 6,979억 디나르(약 208억 달러), 2027: 2조 5,884억 디나르(약 199억 달러), 2028: 2조 5,135억 디나르(약 194억 달러)


     - 경제성장률(GDP 성장) 전망: 2026: 4.1%, 2027: 4.4%, 2028: 4.5%


     - 명목 GDP 전망: 2026: 41조 8,783억 디나르(약 3,226억 달러), 2027: 45조 184억 디나르(약 3,469억 달러), 2028: 48조 3,957억 디나르(약 3,729억 달러)


     - 비석유 부문 GDP 전망: 2026: 36조 2,865억 디나르(약 2,796억 달러), 2027: 39조 5,783억 디나르(약 3,048억 달러), 2028: 43조 1,178억 디나르(약 3,320억 달러)


     - 주요 산업별 성장률 전망 (2026-2028 연평균)

· 농업 부문 실질 성장률: 5.4%, 부가가치 성장률: 6.2%

· 건설업 부문 부가가치 성장률: 5.1%

· 서비스업 부문 부가가치 성장률: 5.0%


     - 동 법안은 재정 지출 통제 및 세수 기반 확충에 중점을 두며, 예산 집행률을 약 70%로 설정하여 재정 적자 점진적 축소를 유도하고 재정 안정성과 성장 조화 추구.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